반응형 인생여행가이드북24 과정과 결과 중 더 중요한 것은? 인생 여행을 즐기는데 과정과 결과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한지 항상 고민이 될 것이다. 어떤 것이 더 중요한지 정해 주겠다. 과정과 결과 중 더 중요한 것은? 과정과 결과 중에 어떤 것이 더 중요한지는 내 인생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중요한 인생 질문 중에 하나가 아닐까 싶다. 일단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과정에서 부족하면 결과가 부족하기 마련이고, 과정에 충실하면 결과는 잘 따라오기 마련이다. 하지만 두 가지 경우가 엇갈리는 상태일 때, 둘 중에 어떤 걸 더 중시하는 게 좋을지 고민이 될 것이다. 과정 좋음 과정 나쁨 결과 좋음 CASE1 : 과정도 좋고 결과도 좋음 CASE2 : 과정은 나쁘지만 결과는 좋음 결과 나쁨 CASE3 : 과정은 좋지만 결과는 나쁨 CASE4 : 과정도 나쁘고 .. 2024. 1. 24. 공학자의 행복 공식 공학자는 행복을 어떻게 정의하는지 이야기하고자 한다. 행복의 주요 요인과 행복의 크기를 생각해 볼 수 있는 행복 공식을 통해 행복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풀어갈 것이다. 행복의 구성요소 행복은 크게 3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나의 내부 요인인 만족과 성취, 나의 외부 요인인 관계이다. 구분 구성 요소 내부의 요인 만족 + 성취 외부의 요인 관계 공학자의 행복 공식 행복은 만족과 성취의 합으로 구성된 내 안의 행복감을 바탕으로 하여 외부와의 소통과 교감으로 이루어진 관계와의 곱셉이다. 행복의 크기는 내 안의 작은 것도 감사하는 마음과 비범하고 위대한 꿈,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증폭시키는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행복은 다음과 같이 공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행복 = 내부요인 × 외부요인 = (만족 +.. 2024. 1. 20. 행복은 감정이 아니라 능력이다. 행복은 감정이 아니라 내가 생각하는 방식에 따라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에 가깝다. 어떻게 내가 당장 행복해질 수 있는지 행복의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을 이용해서 확인해 보자. 행복의 내부 요인 행복은 나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주관적인 감정이다. 대표적인 행복의 내부 감정에는 '만족'과 '성취'가 있다. 1. 만족에서 얻는 행복 : 감사하는 마음 처음으로 외국으로 나갔던 여행에서 첫날부터 이가 너무 심하게 아픈 적이 있었다. 진통제도 없고 말도 안 통하는 곳이라 한국에 올 때까지 병원에도 못 가고 끙끙 앓았었는데 그때는 아무것도 바라는 것 없이 이 통증만 없어지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때의 고통이 심했던 것인지 지금은 그때의 고통만 떠올리기만 해도 지금이 만족스럽고 행복하다고 느껴진다. 어느 춥고 외로.. 2024. 1. 19. 행복은 곱셉이다. 앞 장에서 다양한 행복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행복이라는 것은 인간이 만든 개념이기에 명확하게 정의 내릴 수는 없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인생의 목적으로 생각하는 행복이라는 것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공학자 아빠의 입장에서 행복에 대해 정의해 보았다. 행복의 주요 변수 y = f(x) 이것은 학교에서 배웠던 함수라는 것이다. x라는 변수에 f()라는 연산을 하면 y가 나온다는 의미다. 행복에 대한 공식을 정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여기서 y는 '행복'이다. 1) 행복의 구성요소 : x 그 다음으로 생각해 봐야 할 것은 x라고 적힌 행복의 변수들이다. 행복의 주요 변수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에 대해서 앞 장에서 살펴본 행복의 다양한 정의를 통해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대부분의 철학자들이나 심리학자들은.. 2024. 1. 18. 다양한 행복의 정의 행복은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궁극적인 인생의 가치 중에 하나로 여기고 있다. 그러나 공학자의 입장에서는 먼저 행복이 무엇인지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선은 사람들이 행복을 다양한 측면에서 어떤 게 생각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철학자 고대 철학자들도 행복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행복을 개인의 측면에서 보는 견해도 있고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얻는다라는 견해도 있다. 철학자 행복에 관한 견해 비고 소크라테스(Socrates) 지혜로운 삶과 도덕적인 행동 중시 고대 플라톤(Plato) 지혜로운 지배자에 의해 정의된 사행에서 진정한 행복 가능 스토아주의(Stoicism) 내면의 평정과 흔들리지 않는 마음 에피로스(Epicurus) 신체적인 쾌락, 정신적인 평온 중.. 2024. 1. 17. 인생이라는 여행 이제부터 인생을 왜 여행이라고 이야기했는지 알아보자. 육하원칙을 이용한 인생에 대한 질문 다양한 방식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지만, 육하원칙 (5W 1H)이라고 부르는 방식을 이용하여 인생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생각해 보자. 표. 삶에 대한 6가지 질문 질문 대답 비고 누가 Who 나 명확 언제 When 태어난 순간부터 죽음의 순간까지 어디서 Where 내가 인식하는 공간에서 무엇을 What 인생, 삶 왜 Why 살아간다는 목적, 이유 모호 어떻게 How 살아가는 방식, 수단 인생에 대해서 다각도로 생각해 보니, 위의 6가지 대답 중에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이라는 4가지 질문에 대한 답은 명확하다. 이제 우리에게는 목적에 대한 '왜'라는 질문과 수단에 대한 '어떻게'라는 두 가지의 질문만이 남.. 2024. 1. 15.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