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577 빅데이터(Big data)의 개념과 무료 빅데이터 확보 가능한 사이트 빅데이터(Big data)의 개념 빅데이터란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한다. 과거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다. 요즈음에는 디지털 방식으로 데이터를 확보한다.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데이터의 생성 규모가 방대하다. 생성 주기도 짧다. 수치 데이터는 기본으로 포함되며, 문자, 영상, 소리 등 다양한 데이터가 지금도 생성되고 있다. 빅데이터의 중요성 빅데이터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빅데이터라는 대량의 데이터가 쏟아지고 있다. 우선 내가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에서도 수많은 데이터가 생성되는 중이다. 나의 위치정보, 나의 소비 습관, 내가 찍은 사진, 내가 쓴 글, 내가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 요즘 관심 있는 분야 등등 많인 데이터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우리의 .. 2024. 2. 24. 인공지능(AI)의 정의, 머신러닝, 딥러닝 기술과의 구분 및 개념 정리 인공지능에는 다양한 용어들이 나온다. 강인공지능, 약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전문가시스템, 심층신경망 등 다양한 용어에 혼돈이 올 수도 있다. 아래의 글을 통해 인공지능의 정의와 각 용어들의 계층 관계 및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목차 인공지능(AI) 기술이란?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딥러닝 기술의 계층 관계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점 인공지능(AI) 기술이란? 1. 인공지능의 정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에 대해 AI 기술의 대표적인 책인 "Aritificial Inelligence: A Modern Approach"에서는 인공지능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표. AI 교재에서 정의하는 인공지능 구분 정의 예시 강인공지능(Strong AI).. 2024. 2. 23. 한 눈에 확인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의 역사 인공지능 기술(AI, 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과정을 파악하고 미래를 준비하는데 인공지능 기술의 역사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목차 인공지능(AI) 기술의 태동기 (탐색, 추론) 1차 암흑기 인공지능(AI) 기술의 성장기 (지식) 2차 암흑기 인공지능(AI) 기술의 성숙기 (학습) 인공지능 기술의 주요 역사 한눈으로 보는 인공지능의 역사 인공지능(AI) 기술의 태동기 (탐색, 추론) 1. 인공지능의 시작(1950년 ~ 1956년)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인공지능 기술의 시작은 1950년에 발표된 앨런 튜링(Alan Mathison Turing)의 "계산 기계와 지능(Com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로 시작.. 2024. 2. 22. 인간관계 핵심 2가지 - 관계 개선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것 인간은 혼자 살아가고 혼자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인간관계는 인생을 살아가는데 너무나 중요한 요인이다. 인간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인간관계를 개선하고 싶은 사람은 아래의 글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인간관계가 중요한 이유 1. 성공은 보너스라고 생각하라.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베짜기와 비슷하다고 하였다 (원하는 미래 만들기). 씨줄과 날줄의 조합과 비슷하다. 나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세상의 흐름이 맞아떨어져야 한다. 운(運)은 세상에 흐름이다. 명(命)은 나의 의지와 행동이라고 하였다. 내가 원하는 미래를 만드는 것, 목표를 달성하는 것, 행복해지는 것 모두 내가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공과 목표 달성은 인생의 과정에서 얻는 보너스라고 생각하라(과정과 결과 중 더 중요한 것은?). .. 2024. 2. 21. 성취감을 얻기 위한 기본 요건 인생은 보너스 여행과도 같아서 각자의 즐거움을 찾는 여정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행복을 추구하고 행복의 조건으로 만족, 성취, 관계에 대해 설명하였다(공학자의 행복공식). 이 중 젊을수록 더 필요한 성취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성취의 행복감이란? 행복의 내부적 요인은 만족과 성취이다. 내 삶에서 원하는 바가 없다면 만족의 행복을 느낀다. 내 삶에서 원하는 바가 있다면 목표를 정할 수 있다. 목표를 향해 다가가며 성취라는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 외부적인 요인은 관계이다. 주변인과 소통하며 내부적인 행복감이 증폭된다. 만족에 대한 행복감은 나이가 들어도, 언제든지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성취에 대한 행복감은 어릴수록 큰 꿈을 꿀 수 있어 시간에 대한 영향이 있다. 성취의 행복감을 위한 기본 조건은?.. 2024. 2. 19. "미분의 삶"과 "적분의 삶"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은 삶의 방식에 대한 질문이다. 인생은 보너스 여행과도 같다. 따라서, 우린 여행의 즐거움, 재미를 추구한다. 그 속에서 어떻게 사는 것이 좋을까라는 고민에 한 번씩 빠진다. 고등학교 배우는 미분과 적분을 이용하여 삶의 방식에 대해 이야기한다. 미분과 적분의 개념으로 바라보는 삶의 방식 1. 미분과 적분의 삶 소개미분과 적분을 이용하여 삶의 방식 2가지 소개한다. 미분은 그래프에서 순간적인 기울기를 의미한다. 적분은 그래프에서 어떠한 범위동안의 넓이(면적)를 의미한다. 그래서 미분의 삶은 순간을 중시한다. 적분의 삶은 누적된 결과를 중시한다. 2. 불교의 돈오와 점수불교에서는 깨달음 얻는 수행 방식 2가지가 있다. 돈오와 점수이다. 돈오는 순식간에 깨닫는 것을 말한다. 점수는 .. 2024. 2. 18. 이전 1 ··· 89 90 91 92 93 94 95 ··· 9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