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earn513 초전도체의 분류 목차 임계온도(Critical temperature)에 따른 분류 자기장에 따른 분류 임계온도(Critical temperature)에 따른 분류 저온 초전도체 저온 초전도체는 BCS이론(초전도 현상의 메커니즘 참조)에서 예측하는 임계온도(Critical Temperature) 이하에서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물체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금속이나 합금에 해당한다. 대표적인 물질로 주로 나이오븀(Nb) 기반의 초전도체를 의미한다. 기화점 약 4.2K인 액체 헬륨으로 냉각한다. 주로 초전도 마그넷, 가속기 및 입자 물리학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고온 초전도체 고온 초전도체는 BCS이론에서 벗어나서 더 높은 임계 온도에서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물질을 의미한다. 주로 구리산화물(Cu-O) 기반의 초전도체를 의미.. 2024. 3. 12. 초전도 현상의 메커니즘(Mechanism) 목차 초전도 현상 초전도 현상의 매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 지식 초전도 현상 매커니즘 설명 : BCS 이론 BCS 이론의 한계 초전도 현상 초전도 현상은 매우 낮은 온도에서는 일부 물질의 전기 및 자기적 성질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말한다. 전기저항이 0이 되며 자기장을 방출하는 초전도 현상을 보인다. 약 1911년에 발견된 이 현상이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많은 물리학자들이 연구를 진행했다. 초전도 현상의 매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 지식 1) 포논(Phonon) 금속 고체 안에서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고유한 떨림을 가지는데 이를 포논(Phonon)이라고 부른다. 포논(Phonon)은 비슷한 예를 들자면, 바닷속에서 함께 움직이는 수천 마리의 작은 물고기의 무리나, 플래시몹처럼 수많.. 2024. 3. 11. 초전도 현상과 초전도체 목차 초전도 현상의 예시 : 영화 "아바타" 천공의 섬 초전도 현상이란? 초전도체란? 초전도체의 발현 조건 초전도 현상의 적용 예시 초전도 현상의 예시 : 영화 "아바타" 천공의 섬 초전도 현상을 영화의 아이디어로 이용한 예는 많다. 많은 사람들은 영화 아바타의 공중섬에 그 대표적인 예시이다. 영화상에 공중에 떠있는 섬이 바로 초전도체 물질로 영화 속 인간과 나비족이 다투게 되는 계기가 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 물질이 바로 상온(인간이 주로 생활하는 온도)에서 초도전 현상을 나타내는 상온 초전도체 물질이다. 초전도 현상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다. 초전도 현상이란? 초전도 현상이란 어떤 금속, 합금, 반도체 또는 유기화합물 등을 낮은 온도로 냉각시킬 때 발생한다. 온도가 낮아질수록 금속의 전기적인 저.. 2024. 3. 9. AIoT :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의 결합 AIoT 기술은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이 결합한 기술이다. 사물인터넷 기술의 공간에 대한 확장성과 인공지능 기술의 지능 확장이 서로 융합하여 향후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칠 기술이 될 것이다. AIoT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 AIoT란 무엇인가? AIoT 기술로 진화 : IoT 기술의 발전단계 AIoT 기술의 구조 AIoT 기술의 우려 : 보안 위협 AIoT 기술 보안 대응방안 AIoT 기술 적용 사례 AIoT 기술의 중요성 및 의의 AIoT 란 무엇인가? AIoT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 결합된 기술이다. 이 기술은 사물인터넷(IoT)으로 인해, 사회전반에 변화가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되면서 발전되고 있다. 이 기술을 통해 사물인터넷으로 연결된 .. 2024. 3. 7.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의 개념 및 작동 원리, 미래 활용 전망 목차 블록체인 기술 소개 블록체인 작동 원리 블록체인 기술의 장점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분야 블록체인의 미래 전망 블록체인 기술 소개 블록체인(Blockchain)은 분산된 데이터 데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여러 컴퓨터에 걸쳐서 네트워트로 연결되어 있는 분산 컴퓨팅 기반의 기술이다. 분산 네트워크는 중앙에 서버가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기술은 분산 컴퓨팅 기술기반의 데이터의 위조 방지를 위한 기술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블록체인 작동원리 블록체인은 블록(block)이라는 작은 데이터의 덩어리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블록은 P2P 방식을 이용하여 작은 데이터들이 무수히 연결되어 있는 분산 데이터의 일종이다. 여기서, P2P(Peer to Peer)는 중앙의 서버를 거치지 않고 하위 컴퓨터 끼리 직접 .. 2024. 3. 5. 메타버스 개념 및 4가지 유형 소개 : 다른 가상 현실 기술과 비교 목차 메타버스 기술의 개념 소개 메타버스 기술의 4가지 유형 다른 가상현실 기술과의 비교 메타버스 기술의 개념 소개 1. 메타버스(Metaverse)란? 메타버스는 SF 소설가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닐스티븐이 1992년에 출간한 "스노 크래시"라는 소설에서 가상현실, 아바타, 메타버스 등을 예측하였다. 메타버스는 가상 또는 초월을 의미하는 "Meta"라는 그리스어와 현실세계와 우주를 뜻하는 "Universe"가 합쳐진 말이다. 말 그대로 메타버스는 가상의 세계와 현실의 세계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좀 더 쉽게 풀어보자면 인터넷 및 통신 기술이 만들어 낸 "현실과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가상의 디지털 세상"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2024. 3. 3. 이전 1 ··· 81 82 83 84 85 8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