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CO2

암호화폐의 분류 : 기능, 발행 방식, 시가 총액에 따른 분류 목차 1. 기능에 따른 분류 2. 발행 방식에 따른 분류 3. 블록체인 구조에 따른 분류 1. 기능에 따른 분류 거래용 코인 지불형 코인은 실제 화폐처럼 지불 수단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이다. 중앙 기관 없이 거래가 가능하지만, 가치의 변동성이 있다. 대표적인 화폐로는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비트코인 캐시 등이 있다. 플랫폼(Platform) 코인 플랫폼 코인은 탈중앙화된 플랫폼에서 다양한 서비스 이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의미한다. 스마트 계약에 활용되고 있으며, 플랫폼 성장과 연계된 가치 상승의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플랫폼 자체의 기술 및 활용성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단점도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에이다, 솔라나 등의 코인이 있다. 스테이블(Stable) 코인 스테이블 코인.. 2024. 4. 11.
자신만의 암호화폐를 만드는 방법: 단계별 가이드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화폐의 일종이다. 암호화폐를 만들기 위한 7 단계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1단계: 암호화폐 목적과 가치 정의 암호화폐를 발행하기 위한 첫단계는 암호화폐의 목적과 가치를 정확히 정의하는 것이다. 좀 더 풀어서 이야기하면 암호화폐를 발생해서 해결하려는 문제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중앙 기관에 대한 의존도 낮춘다던지, 국경간의 송금이 용이하게 하거나 금융 접근성에 대한 제약을 완화한다는 등의 목적과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타켓 시장 및 경쟁 화폐를 분석해야 한다. 누가 발행할 암호화폐를 사용하고 투자할 것으로 예상하는지, 비슷한 암호화폐와 어떤 차별화가 가능한지 고민해야 한다. 이러한 내용을 요약하여 백서(White Paper)를 작성하는 것.. 2024. 4.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