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3

"미분의 삶"과 "적분의 삶"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은 삶의 방식에 대한 질문이다. 인생은 보너스 여행과도 같다. 따라서, 우린 여행의 즐거움, 재미를 추구한다. 그 속에서 어떻게 사는 것이 좋을까라는 고민에 한 번씩 빠진다. 고등학교 배우는 미분과 적분을 이용하여 삶의 방식에 대해 이야기한다. 미분과 적분의 개념으로 바라보는 삶의 방식 1. 미분과 적분의 삶 소개미분과 적분을 이용하여 삶의 방식 2가지 소개한다. 미분은 그래프에서 순간적인 기울기를 의미한다. 적분은 그래프에서 어떠한 범위동안의 넓이(면적)를 의미한다. 그래서 미분의 삶은 순간을 중시한다. 적분의 삶은 누적된 결과를 중시한다. 2. 불교의 돈오와 점수불교에서는 깨달음 얻는 수행 방식 2가지가 있다. 돈오와 점수이다. 돈오는 순식간에 깨닫는 것을 말한다. 점수는 .. 2024. 2. 18.
인생에서 정답이 있을까? -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진실 인생을 살아가다 보면 수많은 선택의 갈림길을 만나게 되고 우리는 그 길에서 정답을 찾고 싶어 한다. 인생에서 정답이라는 것이 있을까? 인생에서 정답을 있을지 아래 글을 읽고 각자 생각해 보자. 정답 (Exact solution, Ideal solution) 이란? 정답은 정확한, 이상적인 답을 의미한다. 쉽게 말하면 정답이라는 것은 어느 누가 봐도 똑같은 결과가 나온다는 의미이다. 모든 사람의 생각하는 결과가 모두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1+1의 답은 2이다. 이처럼, 수학이라는 체계 안이나, 플라톤이 말하는 이상적인 세상에서 정답이라는 것이 존재할 것이다. 정답을 요구하는 학교 교육과 공무원 시험 1. 학교 교육 너희가 학교에서 받는 교육은 정답을 찾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5지선다 또는.. 2024. 2. 7.
내가 사는 삶 인생의 태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주도적인 인생의 태도인 내가 사는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알려주고자 한다. 아래 내용을 읽고 자신 만의 삶을 살아가는 방법을 찾길 바란다. 인생을 살아가는 두 가지 삶의 태도 인생에 대한 삶의 태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수동적인 태도를 의미하는 "남이 사는 삶"이며, 두 번째는 능동적인 태도를 의미하는 "내가 사는 삶"이 있겠다. 두 가지 인생에 대한 태도 중에 어떤 게 더 좋을지 물어본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내가 사는 삶"을 좋아하고 더 나은 삶을 태도라고 생각할 것이다. 이유는 사람은 자신이 행위에 긍정적인 반응이 있을 때 더 재미를 느끼기 때문이다. 수동적인 삶에는 내가 행동함으로써 돌아오는 반응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 2024. 1. 29.
728x90
반응형